■ 진행 : 김선영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LIVE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원숭이두창으로 기존에 알려져 있죠. 엠폭스 확진자가 잇달아 발생하는 가운데오늘 확진 환자 1명이 추가로 확인이 됐습니다. 이런 상황에 국내에 이미 엠폭스가 상당히 퍼진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데요. 정재훈 가천대 예방의학과 교수 모셨습니다. 어서 오세요. 먼저 엠폭스라 그러면 아직도 엠폭스가 뭐지? 이런 분들이 계시거든요. 설명부터 해 주시죠. <br /> <br />[정재훈] <br />이전에는 원숭이두창으로 불리던 감염병입니다. 이제 그런 것이 명칭이 바뀌면서 엠폭스가 되었고요. 인류 역사를 돌이켜보면 가장 위험한 감염병은 천연두였습니다. 천연두를 두창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요. 천연두는 예방접종을 통해서 박멸이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천연두와 유사한 친척 바이러스들이 많은 동물들에 존재하고 있는데요. <br />그중에 특히 원숭이에서 유행하고 있는 두창 바이러스를 우리가 원숭이두창 바이러스라고 부릅니다. <br /> <br /> <br />멍키폭스 이렇게 부르는군요. <br /> <br />[정재훈] <br />그렇습니다. 그렇기 때문에 엠폭스라고 불리는 것이고요. 원숭이두창 바이러스가 종 간에 장면을 뛰어넘어서 사람으로 전파가 되기 시작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변이가 있었던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그래서 사람 사이에서는 원래는 전파 가능성이 매우 떨어지는 감염병이었는데 최근에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파도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이죠. <br /> <br /> <br />한동안 잊고 있다가 요 며칠 확 늘었어요. 그래서 오늘 9번째 확진자가 나왔거든요. 이 정도면 증가세를 우리가 유심히 봐야 되는 상황인가요? <br /> <br />[정재훈] <br />새로운 감염병이 초기 차단에 실패할 경우에는 지역사회로 확산될 수밖에 없고 지금의 단계는 지역사회로 엠폭스가 확산되는 단계라고 볼 수 있습니다. 이전의 사례들은 대부분 해외에서 여행하신 분들이었거든요. 하지만 지금 사례는 국내에서 해외여행력이 없이 확인되신 분들이고 그런 분들 같은 경우에는 지역사회에서 전파가 됐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라고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지역사회 전파라는 게 상당히 광범위한 표현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전파되는 것을 지역사회 감염이라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정연 (friday8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30413111800078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